[컴퓨터시스템관리] 8주차 실습일지
● 실습 과제 결과
<가장 어렵거나 헷갈리거나 기억이 나지 않는 주제를 1~2개 선정하고, 실습과제와 비슷한 형태의 과제 2개를 스스로 제작하여 과제를 실습하기>
주제 1: (3주차) 사용자 계정 생성 및 관리
-> 상대적으로 앞부분 실습 내용이라 잊어버린 부분들이 많이 있었고, 사용자 계정 생성 및 관리에서 수업시간에 간단하게만 보고 넘어간 명령어들을 제대로 복습하지 않아서 다시 실습해보고 싶었다. 또한 파일 소유권 및 허가권에 대해 이해를 완벽히 하지 못하고 넘어간 부분들이 있어서 그 부분도 같이 실습과제로 출제하였다.
과제 1) 아래의 그림을 참고하여 사용자 계정과 그룹을 생성한 후 다음 주어진 세 가지의 조건에 맞게 설정하시오.
1. c-01 사용자를 삭제 후 c-class 그룹을 삭제하시오.
2. csm-ss 그룹의 이름을 csm-sungshin으로 변경하고, 그룹 비밀번호를 sungshin으로 설정하시오.
3. csm-notice.txt 파일을 만들고 소유 그룹을 a-class, 소유자를 a-02로 변경한 후,
소유자에게는 읽기, 쓰기, 실행하기 권한을 부여하고 소유 그룹에게는 읽기, 쓰기 권한, 그 외 사용자에게는
읽기 권한만 부여하도록 설정하시오.
사용자 계정 및 그룹 생성
1. c-01 사용자 삭제 / c-class 그룹 삭제
2. csm-ss 그룹의 이름을 csm-sungshin으로 변경 및 그룹 비밀번호를 sungshin으로 설정
3. csm-notice.txt 파일을 만들고 소유 그룹을 a-class, 소유자를 a-02로 변경
소유자에게는 읽기, 쓰기, 실행하기 권한 / 소유 그룹에게는 읽기, 쓰기 권한 / 그 외 사용자에게는 읽기 권한만 부여하도록 설정
주제 2: (4주차) 응용 프로그램 설치
->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실습은 진행했었지만, 같은 프로그램을 다른 두 가지 방법으로 설치해보고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 싶어서 실습 과제를 만들었다. 또, 같은 수업을 듣는 학우들의 실습 일지에서 재미있고 유용해보이는 프로그램들을 많이 발견했어서 몇 가지 프로그램들을 설치해보고 싶어서 이 주제를 선택했다.
과제 2) 유용한 프로그램을 하나 골라서 프로그램을 각각 다른 2가지 방법으로 설치하는 것을 실습하고, 각각 프로그램 설치 방법에 대한 느낀점을 비교해보고 어떤 점이 편리했고 불편했는지 작성해보시오.
설치할 유용한 프로그램: kolourpaint
-> 윈도우에서 그림판을 가끔 사용하는 편인데, 리눅스에서의 그림판인 kolourpaint를 설치하면 유용할 것 같고 그림판과는 어떤 점이 다른지 궁금해서 설치해보게 되었다.
① 우분투 소프트웨어를 이용
왼쪽 하단의 프로그램 표시 - Ubuntu Software - Art and Design - kolourpaint
② 우분투 패키지 저장소를 이용해서 설치
① 방법인 우분투 소프트웨어를 이용은 휴대폰에서 앱을 설치하거나 할 때와 거의 비슷한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어서 매우 익숙한 방법이었다.
하지만 만약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한 번에 설치할 일이 있을 때는 ② 패키지 저장소를 이용해서 설치하는 것이 더 빠르고 쉬울 것 같다. 명령어 한 줄로 바로 설치가 가능하니 바로 바로 설치가 가능해서 편리했다. 여러 방법을 비교하며 설치해보니 리눅스에서 프로그램 설치가 쉽다고 하는 것이 체감되었다.
+ 수업시간에 Firefox를 설치한 것 처럼 프로그램의 사이트에서 파일을 다운받아 압축을 푸는 방법도 시도해보려고 했는데 아쉽게도 kolourpaint의 사이트에서는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하지 않고 바로 우분트 소프트웨어로 연결해주어서 두 가지 방법으로만 설치해보았다.
● 새로 배운 내용 ( = 복습한 내용 )
1. (2주차) 마운트
-> 복습하면서 Serer에서 CD/DVD 연결하는 실습은 진행했었는데 Server(b)에서 CD/DVD를 연결하는 실습은 간단하게만 보고 넘어갔던 기억이 나서 다시 실습을 진행해보았다.
마운트 : 물리적 장치를 특정한 위치에 연결하는 과정
VMware settings에서 CD/DVD 설정을 use ISO image file으로 바꾼 후
mkdir /media/cdrom ##디렉토리 생성
mount /dev/cdrom /media/cdrom ##CD/DVD 마운트
2. (2주차) 파일 묶기와 압축
데이터 압축: 데이터를 더 적은 저장 공간에 효율적으로 기록하기 위함
- 원본 데이터를 압축 데이터로 encoding, 압축 데이터를 원본 데이터로 decoding할 수 있음.
- 리눅스에서는 파일을 묶는 과정, 압축하는 과정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윈도우에서는 두 과정을 한번에 처리함)
-> 묶고 압축하기 위해 tar이라는 명령어 사용!
[실습]
3. (3주차) 파일 소유권과 허가권
소유권: 누가 해당 파일, 디렉터리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는지
-> chown / chgrp 명령어
허가권: 누가 해당 파일, 디렉터리를 읽거나 쓰거나 실행할 수 있는지
-> chmod 명령어
4. (3주차) 공통 편집 및 관리를 위한 링크 파일 생성
-> 링크 파일 관련 설명을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여서 다시 실습해보고 싶어 복습을 진행하였다.
원본 파일을 삭제하면, 실제 원본 파일 데이터를 지우는 것이 아니라 원본 파일 데이터를 가리키고 있는 inode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지우는 것
[실습]
5. (5주차) 디스크 관리 -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하드디스크의 연결 방식 2가지 - SATA와 SCSI
- SATA: 속도 빠름 / 케이블 길이 짧음 (개인 PC - SSD는 SATA 방식)
- SCSI: 속도 느림 / 케이블 길이 김 (큰 장치 내에서 서버를 구성하면 실제 거리가 멀어질 경우 SCSI 방식)
파티션: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구분해서 여러 개 있는 것처럼 사용 - 공간을 나눔
** fdisk -l : 현재 파티션 리스트를 볼 수 있는 명령어
● 문제 발생 및 해결 과정
1) 마운트 실습에서의 오류 /media/cdrom : no medium found on /dev/sr0
mount /dev/cdrom /media/cdrom 명령어를 실행했는데 no medium found on /dev/sr0라는 오류 메세지가 떠서 당황했는데 검색해보니 ISO 파일이 삽입되지 않아서라고 했다. 그것을 보고 server에서의 마운트 실습처럼 setting에 들어가서 CD/DVD를 ISO image로 바꾸었어야 하는데 그 과정을 생략하는 바람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었다.
2) groupmod 명령어에서의 오류
강의자료에서 groupmod --new-name newgroup newgroup1 // newgroup의 이름을 newgroup1로 변경이라고 나와있어서 원래 이름 바꿀 이름 순서로 써야하는 줄 알았는데 그렇게 했더니 'csm-sungshin' 그룹이 없습니다. 라는 오류가 발생하였다.
--help와 맨 페이지를 참고하고 검색도 해보았더니,
groupmod --new-name NEW_GROUP_NAME OLD_GROUP_NAME 형식으로 쓰면 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3) 프로그램 설치(apt install kolourpaint)에서의 오류
설치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아서 오류 메세지에서 안내한 대로 apt-get update를 실행한 후 설치를 진행하였더니 잘 작동하였다.
● 참고할 만한 내용
www.fedoralinux.or.kr/forums/topic/13679
cd/dvd 마운트 에러! 어떻게 해야 되죠? | 페도라 한국 사용자 모임
버추얼박스로 페도라 워크스테이션 18버전을 사용하고 있구요.[root@localhost dev]# mkdir /media/cd-rom[root@localhost dev]# mount /devcdrom /media/cd-rom 으로 잘못 타자를 쳤습니다. 책에는 momut /dev/cdrom /media/cd-rom
www.fedoralinux.or.kr
마운트 실습에서의 오류에 참고한 질문글이다. 나와 같은 오류가 뜬 사람이 남긴 질문글인데, ISO 파일이 삽입되지 않아서 뜬 오류라고 답변이 달린 것을 보고 참고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kazmax.zpp.jp/en/linux_basic_knowledge/user_management/change_linux_group_information_groupmod.html
Change Linux group information - groupmod
Change Linux group information - groupmod You can change group information with the groupmod command. The groupmod command can change group name and GID. Last Update : December 25, 2018 Change Linux group information - groupmod Contents Usage and options o
kazmax.zpp.jp
groupmod 명령어의 사용법에 관한 글이다. (문제 및 해결 2에서 참고)
리눅스 그룹 생성/삭제/확인/추가 - groupadd
리눅스시스템에는 사용자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사용자명과 같은 그룹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리눅스에서는 자신의 계정 이름과 동일한 그룹에 반드시 속하게 되며, 특정 그룹을 만들어서 기존
webdir.tistory.com
강의자료에 있어서 그룹의 비밀번호를 설정해보기는 했는데, 그룹의 비밀번호를 쓸 일이 있을지, 또 그룹의 비밀번호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해 검색해보았다. 그룹의 비밀번호들은 /etc/gshadow 파일에 저장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위 글에 따르면 그룹의 비밀번호를 설정할 일은 많지 않다고 한다.
위 캡쳐을 보면 /etc/gshadow 파일에 csm-sungshin 그룹의 암호가 설정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선 실습과제 1에서 설정함.)
파일 권한 내용과 관련 문제 (chmod, chown, rwx, file permission 허가권, 소유자 및 소유자 그룹 변경)
리눅스 완전 정복 : 리눅스 목차 파일 권한이란? (허가권, 소유권) 맨~~날 나오는 리눅스 단골 출제 부문이기도 하고 그런게 아니더라도 리눅스를 쓰게 된다면 아래 그림처럼 -rw-rw-r-- 이런 것들
jhnyang.tistory.com
파일 허가권에 대한 내용을 배울 때 rwx를 이진수에서 십진수로 바꾸는 내용에 대해 이해가 잘 안돼서 참고한 링크이다.
KolourPaint
그리기 프로그램
apps.kde.org
● 회고
좋았던 점(+)
강의 중간중간에 따라는했지만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한 부분들이 몇 가지 있었고, 특히 초반부 내용들은 시간이 꽤 지남에 따라 잊어버린 내용들도 상당히 많았다. 사실 교수님께서 '실습일지에 나중에 다시 한번 봐야겠다라고 써놓고 아마 보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하신 부분에서 조금 찔렸었다. 나도 실습일지에 그렇게 써놓은 부분이 있었는데 복습을 미루고 미루다 중간 과제 이전에 꼭 다시 복습해야겠다고 마음먹고 있었는데, 마침 복습할 수 있는 과제를 내주셔서 이번 실습이 매우 도움이 되었다.
아쉬웠던 점(-)
생각보다 내가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한 부분들이 꽤 많아서 다시 복습하는데 조금 오래 걸렸다. 중간고사 이후부터는 다시 해봐야지 했던 부분들은 미리미리 다시 복습해놓아야겠다. 복습하는 과정에서 무작정 따라하는 것 보다 이번에 문제를 직접 내서 풀어보는 과제를 진행한 것처럼 여러 변형을 주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실습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새로 알게된 점(!)
그동안의 강의자료와 실습일지, 필기들을 쭉 보면서 7주차 동안 배운 내용들의 흐름을 알 수 있었고, 이해가 되지 않았던 부분들, 실습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부분들도 검색해보고 강의 영상도 참고하면서 다시 실습해볼 수 있어서 지금까지의 강의 내용들을 조금 더 완벽하게 이해하게 되었다. 중간고사 과제가 얼마 남지 않아서 중간 전까지 더 꼼꼼하게 한번 더 복습하면서 어려운 부분들을 재실습해보며 공부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