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시스템관리] 5주차 실습일지
5주차에는
1. 리눅스에서 다루는 파일시스템과 하드디스크의 구조를 이해하고,
2.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추가하는 실습을 진행하였으며,
3.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하드디스크 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 실습 과제 결과
Server(b)에 RAID 구축 실습
내가 생각하기에 가장 적절한 RAID와 그 이유
-> RAID 5
RAID 5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RAID 레벨으로서, RAID1의 데이터 안전성과 RAID0의 공간 효율성을 둘 다 잡은 RAID라서 적절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드디스크의 오류가 발생 시에 패리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점이 장점인 것 같다. 비록 RAID 보다 성능과 용량이 조금 적더라도 안정성이 확보되어있다는 점에서 가장 적절한 RAID 레벨으로 선택하였다.
●새로 배운 내용
1. 하드디스크 1개 추가
1)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 Add... - Hard Disk
(1GB로 설정 / Store virtual disk as a sing file)
2) fdisk: 파티션을 보여주거나 관리, 수정할 수 있는 명령어
fdisk - l : 현재 장치를 보여줌
Disk /dev/sda : 20GB짜리 기존의 하드디스크 있음. 파티션이 1번, 2번, 5번
+ Disk /dev/sdb : 1GB 짜리 새로 추가한 것. 아직 파티션 할당을 하지 않음.
fdisk /dev/sdb
-> n (add a new partition)
-> p (파티션 타입 선택, primary)
-> 1 (partition number)
-> Enter (First sector은 default로)
-> Enter (Last sector은 default로, 나누지 않고 통째로 씀) -> 새로운 파티션 하나가 생김.
p (출력)
w (저장 후 종료)
파티션을 할당함, 리눅스가 접근할 수 있도록 파일 시스템을 생성해주어야 함 (포맷)
-> mkfs 명령어를 이용
mkfs -t ext4 /dev/sdb1
ㄴ mkfs type을 ext4로, 위치는 /dev/sd1 (파티션이 할당됨. ls -ld에서 위치 확인)
-> 포맷되었지만 아직 접근할 수 없음, 마운트 해주어야 함.
mkdir /mydata
cp /boot/vmlinuz /mydata/test1
ㄴ 마운트가 되었을 때와 안되었을 때의 차이를 보기 위해 파일을 복사
기존의 test1은 20GB짜리 하드디스크에 복사됨. 두 번째 1GB 하드디스크에 마운트했더니 보이지 않음 (lost+found)
test2 파일은 두 번째 하드디스크에 복사됨.
umount /dev/sdb1 : 확인을 위해 언마운트 해봄 (-> 기존의 파일이 숨겨짐)
3) 부팅할 떄 자동으로 하드디스크가 마운트 되도록 설정
nano /etc/fstap : nano라는 에디터를 사용
2. 다양한 RAID 구성 실습
1) 장치 확인
fdisk -l
ls -l /dev/sd* : sd로 시작하는 것들 보여줌
2) RAID를 구성할 수 있는 형태로 파티션 나누기
fdisk /dev/sdb
n -> p -> 1 -> Enter -> Enter -> t -> fd -> p -> w (fd: Linux raid auto)
=> 이 과정을 8번 반복
3) RAID 생성
mdadm --create /dev/md9 --level=linear --raid-devices=2 /dev/sdb1 /dev/sdc
mkfs.ext4 /dev/md0 : 포멧, 파일 시스템 생성
mkdir /raid0 : 마운트할 디렉터리 생성
mount /dev/md0 /raid0 : 마운트
vi /etc/fstab (/dev/md0 /raid0 ext4 defaults 0 0 입력) :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도록
(* vi 대신 nano 나 gedit 이용 가능!)
● 문제발생 및 해결 과정
이번 실습에서는 다행이 실습에서 발생하는 오류는 없었다.
하지만 이론적으로 배운 내용들이 유독 많았고 처음 배우는 내용들이어서 머릿속에서 잘 정리되지 않았다. 앞 이론들을 정확히 이해를 하지 않고 실습을 진행하다보니, 명령어들을 무작정 따라하기만 하고 내가 어떤 실습을 하고있는 것인지 이해하지 못해서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앞 이론 강의 영상들을 보며 다시 SATA와 SCSI / 파티션 / RAID에 관련된 이론들을 정리한 후 실습을 진행하였더니 조금 이해가 되면서 실습을 진행하는데 훨씬 수월해졌던 것 같다.
● 참고할 만한 내용
[스토리지] RAID 정리 1. RAID 기본 설명 및 RAID Level (레이드 레벨)
안녕하세요. 본격적으로 RAID에 대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1. RAID 란?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독립된 디스크의 복수 배열) 혹은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저렴한 디스크의..
harryp.tistory.com
RAID에 관해 조금 더 알아보고 싶어 검색해보았는데, 위의 링크를 통해 수업시간에 배우지 않은,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RAID 레벨에 관한 설명도 나와있어서 참고하였다.
● 회고
좋았던 점(+) / 새로 알게된 점(!)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에 대해 이해해보고, 파티션과 RAID 등 여러 개념에 대해 자세히 배웠다는 점에서 좋았던 주차였다. 특히 RAID의 여러 레벨에 대해 알아보고 각각의 레벨에 대해 특징과 장단점이 존재한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또한 하드디스크가 어떻게 구성되어있고,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지에 관해서 배운 내용도 유익했다.
그리고 과제를 통해 한번 더 RAID를 구축해보는 실습을 해볼 수 있어서 복습이 되어 더 완벽하게 실습해본 것 같아 좋았다.
아쉬웠던 점(-)
앞서 '문제발생 및 해결과정'에서 언급했듯이, 처음에 이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실습을 진행하여 내용에 대해서 모른 채로 명령어들을 무작정 따라하기만 했던 점이 아쉬웠다. 중간에 다시 돌아가서 이해하고 잘 실습을 진행하기는 했지만, 앞으로의 실습에서는 이론적인 부분들까지도 놓치지 않고 잘 공부하여 실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