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공부/컴퓨터시스템관리

[컴퓨터시스템관리] 1주차 실습 일지

sohee! 2021. 3. 5. 00:59

1주차에는 

1. 자신의 컴퓨터에 가상머신과 3개의 리눅스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2. 관리자 설정 등을 수행하는 실습을 진행하였습니다.


새로 배운 내용

1. 실습 환경 

가상머신: PC 1대만으로 여러 대의 PC를 운영하는 것처럼 만드는 방법 (가상으로)

리눅스: 운영체제, 여려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쓸 수 있는 시스템

 

실습에서 사용할 환경 

PC 1대에서 리눅스 3대를 구동 (Server, Server(b), Client)

-> Host-Os인 윈도우 안에 가상머신을 이용하여 가상의 컴퓨터 3대를 만드는 것

Server <- Ubuntu Desktop / Server(b) <- Ubuntu Server / Clent <- Kubuntu 

-> 세 버전의 리눅스 설치

2. 가상머신/리눅스 설치

3. 리눅스 설정

1) Server

화면 오른쪽 끝 ▼ 버튼 : 해상도 변경 가능

<마우스 우클릭 - Open in Terminal>

root 계정: 운영체제의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슈퍼관리자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 삭제할 수 있음)

-> root 계정 활성화 필요 

root 계정 활성화 : sudo su - root

root 게정 패스워드 설정: passwd -> 새암호 입력/재입력

방화벽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컴퓨터를 보호) : ufw enable

로그아웃/종료: exit

한/영 변환: shift+space

 

2) Server(b)

root 계정 활성화: sudo su - root

root 게정 패스워드 설정: passwd -> 새암호 입력/재입력

방화벽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컴퓨터를 보호) : ufw enable

재부팅: reboot

컴퓨터 종료: halt -p

 

* 백업 방법) VM ware workstation pro 와 player 버전은 각각 유료와 무료이다. 기능은 비슷하지만 pro에서 지원하는 기능 중에 백업시스템인 스냅샷이 있다. 

하지만, 파일을 복사해서 backup 폴더를 만들어 놓으면 나중에 되돌리고 싶을 때 설정에서 경로를 다시 설정하여 되돌릴 수 있다.

 

문제 발생 및 해결 과정

1)

VM ware를 다시 실행해봤을 때 다음과 같은 오류창이 뜨길래 검색해봤더니, 가상 머신이 사용되고 있다고 인식하여 등록이 안되는 문제였다. Server(b) 파일의 000.Ick라고 되어 있는 폴더를 삭제하였더니 해결되었다. 임시 폴더이기 때문에 삭제해도 문제 없다고 한다.

 

2) 그리고 중간에 Server가 예시 화면처럼 실행이 되지 않는 오류가 있었는데 삭제 후 처음부터 다시 설치하니 원활하게 실행되었다.

 

3) Server(b) 구현 과정에 오류가 발생하여 qna에 올라와있는대로 용량을 1기가로 변경하였더니 해결되었다.

 

참고할 만한 내용

문제 해결에서 참고한 블로그 링크

kairosre.tistory.com/1201

 

실습 동영상 (부팅 및 로그인 화면)

 

회고

좋았던 점(+) 

가상머신과 리눅스 프로그램을 처음 다뤄보았는데, 설치 시간이 오래걸리고 모르는 용어들이 조금 나와서 복잡하다고 생각했지만, 영상을 따라가다 보니 1주차 실습을 큰 문제없이 마칠 수 있었다. 실습을 마치고 보니 아직 1주차이고, 설치한게 다지만 무언가 해결했다는 것이 뿌듯했다. 앞으로의 실습들도 잘 해나가고 싶다.

아쉬웠던 점(-) 

중간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 아쉽다. 하지만 검색을 통해 금방 해결방법을 알아내어서 아쉬웠다. 또한 잘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서 삭제 후에 다시 설치하는 바람에 시간이 조금 더 걸린 점도 아쉽다.

새로 알게된 점(!)

리눅스와 가상머신에 대해 얼핏 들어보기만 했지 제대로 배워 본 것은 처음이었는데,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새로 배우는 내용이다보니 흥미롭고 앞으로 배울 내용들이 기대가 된다. 앞으로 실습에 열심히 참여하여 리눅스를 이용한 여러 기법들을 잘 다룰 수 있도록 공부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