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공부/코테

[백준 7785: 회사에 있는 사람] 파이썬 풀이 _ list와 set의 시간복잡도

 

7785번: 회사에 있는 사람

첫째 줄에 로그에 기록된 출입 기록의 수 n이 주어진다. (2 ≤ n ≤ 106) 다음 n개의 줄에는 출입 기록이 순서대로 주어지며, 각 사람의 이름이 주어지고 "enter"나 "leave"가 주어진다. "enter"인 경우는

www.acmicpc.net


문제

상근이는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회사 기글에서 일한다. 이 회사의 가장 큰 특징은 자유로운 출퇴근 시간이다. 따라서, 직원들은 반드시 9시부터 6시까지 회사에 있지 않아도 된다.

각 직원은 자기가 원할 때 출근할 수 있고, 아무때나 퇴근할 수 있다.

상근이는 모든 사람의 출입카드 시스템의 로그를 가지고 있다. 이 로그는 어떤 사람이 회사에 들어왔는지, 나갔는지가 기록되어져 있다. 로그가 주어졌을 때, 현재 회사에 있는 모든 사람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로그에 기록된 출입 기록의 수 n이 주어진다. (2 ≤ n ≤ 106) 다음 n개의 줄에는 출입 기록이 순서대로 주어지며, 각 사람의 이름이 주어지고 "enter"나 "leave"가 주어진다. "enter"인 경우는 출근, "leave"인 경우는 퇴근이다.

회사에는 동명이인이 없으며, 대소문자가 다른 경우에는 다른 이름이다. 사람들의 이름은 알파벳 대소문자로 구성된 5글자 이하의 문자열이다.

출력

현재 회사에 있는 사람의 이름을 사전 순의 역순으로 한 줄에 한 명씩 출력한다.

 

 


💻 코드 및 해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 n 입력
n= int(input())

name_list = set() # set으로 빈 이름 리스트 생성
for _ in range(n):
  name, enter = input().split() # 이름과 enter/leave 입력
  if not name in name_list: # name_list에 이름이 없으면
    name_list.add(name) # add로 이름 추가
  if enter == 'leave': # 이름이 있고 leave이면, 나갔으므로 이름 삭제
    name_list.remove(name)

name_list = sorted(name_list, reverse=True) # 오름차순으로 정렬

#출력
for name in name_list:
  print(name)

 

  • set으로 name_list 생성
    • for문을 n번 돌면서
    • name_list에 없는 이름이면, add로 이름 추가
    • 이름이 있고, leave라고 들어오면 해당 이름의 사람이 나간 것이므로 remove로 이름 삭제
  • 오름차순으로 정렬 : sorted (reverse=True) 옵션 사용
  • 정렬된 name_list의 이름을 한 줄 씩 출력

⚠️ 잘못된 풀이 _ 시간초과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int(input())
name_list = []
for _ in range(n):
  name, enter = input().split()
  if not name in name_list:
    name_list.append(name)
  if enter == 'leave':
    name_list.remove(name)

name_list.sort(reverse=True)

for name in name_list:
  print(name)

 

처음에 같은 코드를 name_list를 리스트로 생성해서 append, remove를 이용하여 코드를 짰더니, 시간 초과가 발생했습니다.

 

 

시간을 줄일 방법을 생각하다가 예전에 list 보다 set이 시간복잡도가 낮았던 것이 기억나서, 

어차피 ' 회사에는 동명이인이 없다'는 조건 때문에 set을 사용해도 되겠다 싶어서 수정했더니 시간 초과가 나지 않았습니다. 

 

✏️ set vs list 시간복잡도

in 함수 사용 시

set 함수: 평균 O(1)
dict 함수 : 평균 O(1)
list 함수: 평균 O(n)

 

 

  • set 함수는 내부적으로 해시 테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in 연산을 평균 O(1)의 시간복잡도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 list 함수는 내부적으로 동적 배열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in 연산은 리스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탐색해야 하므로 평균 O(n)의 시간복잡도를 가지게 됩니다
    즉, 리스트의 크기가 커질수록 in 연산의 속도는 느려질 수 밖에 없습니다 .

 

list 시간복잡도

 

set 시간복잡도

 

dict 시간복잡도


📍 참고 링크

https://ics.uci.edu/~pattis/ICS-33/lectures/complexitypython.txt

 

🚀 파이썬의 set 함수와 list 함수의 in 함수 사용 시 시간복잡도

⏱️ 파이썬의 set 함수와 list 함수의 in 함수 사용 시 시간복잡도 in 함수 사용 시 set 함수: 평균 O(1) dict 함수 : 평균 O(1) list 함수: 평균 O(n) set 함수는 내부적으로 해시 테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

night-knigh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