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공부/컴퓨터시스템관리

[컴퓨터시스템관리] 3주차 실습일지

3주차에는 

1. 리눅스 파일시스템의 기본 디렉터리 구조를 배우고,

2. 리눅스가 설치된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 방법을 이해하고,

3. 시스템 관리자로서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들을 실습하였습니다.

 


 실습 과제 결과

"리눅스 커맨드라인 툴"을 검색해 알아낸 프로그램 중 ncdu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였다. ncdu는 파일의 용량을 쉽게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콘솔 형태로 용량 정보를 출력해준다. 일반적으로는 du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용량을 확인할 수 있지만 디렉터리가 많은 경우 매번 명령어를 쳐야 하기 때문에 편리한 프로그램이다.

 

ncdu 설치 과정 
동작 화면 캡쳐

 

새로 배운 내용

1. 사용자 및 그룹 확인 실습

/etc/passwd : 사용자 정보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사용자 ID : 그룹ID: 추가정보:홈디렉터리:로그인시 제공되는 셸) 

* cat /etc/passwd : 파일의 내용 볼 수 있음 

예시) ubuntu:x:1000:1000:ubuntu,,,:/home/ubuntu:/bin/bash

* less /etc/passwd (less: 파일의 내용을 편리하게 볼 수 있음.)

* tail /etc/passwd (tail: 뒤의 열줄 정도만 보여줌)

 

/etc/group: 그룹 정보 

 

2. 사용자 계정 생성 및 관리 실습

etc/skel : 계정 사용자 생성 시에 초기화 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터리 

-> etc skel에 notice.txt를 만듦. (vi 이용)

 

sudo groupadd ss-univ

sudo groupadd cs

sudo groupadd it

: 세 개의 그룹 (ss-univ / cs / it)를 만듦 

-> tail /etc/group 했을 때 볼 수 있음. (ss-univ는 ID가 1001, cs는 1002, it는 1003)

 

adduser cs-01 : cs-01 계정 생성

usermod --gid cs cs-01 : cs-01의 기본 그룹인 cs-01을 cs로 바꿈.

usermod --groups ss-univ cs-01 : 보조그룹으로 ss-univ를 추가

 

adduser --gid 1002 cs-02: cs-02 계정 생성

(cs-01을 생성할 때는 계정 생성 후 그룹 ID를 바꿈, 위는 계정을 만들 때 primary 그룹을 cs로 설정하는 방법)

usermod --group ss-univ cs-02

 

adduser --gid 1003 it-01: it-01계정 생성 및 it 그룹에 등록

adduser --gid 1003 it-02: it-02계정 생성 및 it 그룹에 등록

 

(su - it-01 : 계정이 잘 만들어졌는지 it 계정으로 로그인 해볼 수 있음)

 

3. 파일 소유 및 권한 관리 

chown ubuntu.ubuntu mydata.txt : mydata.txt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ubuntu로 바꿈

(touch mydata.txt로 텍스트 파일 생성 후 실습

 ls -l을 이용하면 소유자와 소유그룹 확인 가능)

 

chgrp root mydata.txt : 소유그룹만 root로 바꿈

 

chmod 777 mydata.txt : 누구나 다 볼 수 있도록

chmod 644 mydata.txt : 소유자만 읽고 쓸 수 있고 나머지는 읽기만 

chmod u+x mydata.txt : 소유자에게 실행하는 권한도 줌

 

3. 링크파일 

ln -s board.txt cs-board : 그룹별로 접근할 수 있는 심볼릭 링크 파일 생성

(cs-board를 board.txt로 연결 -> cat cs-board를 해도 board.txt의 내용이 나옴)

4. 프로그램 설치

apt install

 

 문제 발생 및 해결 과정

sources.list 파일을 백업해놓는 과정에서 허가 거부 오류가 떴다. VM ware를 껐다 다시 키는 과정에서 ubuntu 계정으로 로그인되었기 때문이었다. 다시 바로 루트 계정으로 접속하였더니 해결되었다. 이번 주차에서는 이 간단한 실수 외에는 큰 오류없이 실습을 진행하였다. 

 

 참고할 만한 내용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adii26omg&logNo=220074345414&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Ubuntu vi editor 설정

Linux 기반의 운영체제는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접해오던 Windows와는 다른 점들이 많아서 처음 쓸 때는 ...

blog.naver.com

교수님이 수업 중간에 vi를 조금 더 편하게 쓸 수 있는 설정이 있다고 하셔서 관련 내용을 찾아보았다.  vi editor를 보완하기 위해서 나온 VIM 패키지와 여러 설정들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oorol&logNo=220955751066&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Linux] ncdu - 파일 용량 쉽게 보기

▣ ncdu - 파일 용량 쉽게 보기 - du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일 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 디렉터리가 많은 경...

blog.naver.com

실습 과제에서 설치한 ncdu라는 프로그램에 대한 간단한 사용방법이 나와있는 페이지이다.

 

 회고

좋았던 점(+) 

시스템 관리자로서 할 수 있는 관리나 권한에 대해 배울 수 있어서 좋은 수업이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리눅스를 사용하는 이유가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매우 쉬워서라고 들어왔는데 그 점을 실습해 볼 수 있어서 흥미로웠다. 명령어 한 줄 만으로도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매력적이라고 느꼈다.

 

아쉬웠던 점(-) 

초반에는 실습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는데 후반부로 갈수록, 특히 링크 파일 관련 실습 부분에서 조금 복잡해지고 과정이 많아져서 헷갈렸던 것 같다. 여러 번 실습해보고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완벽히 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실습에도 어려움이 없도록 앞의 과정들을 꼭 복습하고 넘어가야겠다.

 

새로 알게된 점(!)

새롭게 여러 명령어들에 대해 알 수 있었고 전체 디렉터리 구조에 대해 배웠다. 계정을 생성하고 권한을 관리하는 등의 내용을 새롭게 배워 시스템 관리자로서의 역할에 한발짝 다가간 느낌이었다.